함수계산기 코딩하기
함수계산기 는 사칙연산을 계산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자바스크립트와 비슷한 코드를 사용해 자신만의 함수를 만들어 계산에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계산기입니다. 이 계산기에 사용되는 스크립트 이름은 SimpleMath 라 이름 붙였습니다. 여기서는 어떻게 함수계산기 에서 SimpleMath를 사용하여 코딩을 하는지 코딩하는 법을 설명합니다. 함수 만들기 함수계산기 공장페이지를 열어서 코딩을 하고 run버튼을 누르면 코딩을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. 함수계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가지 형태로 함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. def 함수이름(파라미터)=수식; def 함수이름(파라미터){실행코드} 이상 두가지 형태 중 가장 쉬운 첫번째 형태를 우선 살펴보겠습니다. 가령 두 수를 더하는 함수를 만든다고 가정합시다. 함수이름을 두수합 이라 놓고 두 개의 실제 들어갈 값을 대신할 파라미터를 수1,수2라 이름 붙여서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. def 두수합(수1,수2)=수1+수2; 일반 수식을 써서 함수를 정의한 형태입니다. 우선 def라는 키워드를 먼저 표기함으로써 새로운 함수를 정의함을 계산기 시스템인 SimpleMath에게 알려 주어야합니다. 그 다음엔 적당한 함수이름을 붙여줍니다. 여기서는 두수합이라 이름붙였습니다. 함수이름은 지구상에 어떤 언어글자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. 다만 함수계산기에서 허용하는 이름의 규칙은 언제나 문자가 먼저오고 숫자를 이름에 붙일 경우 숫자는 문자보다 항상 뒤에 와야 합니다.이름 사이에 공백이 있어서는 안되고 또 흔히 쓰이는 _는 계산기 코딩시스템인 SimpleMath에서는 허용하지 않습니다. 아래는 함수이름의 사용 예 입니다. 두수합 -> OK 두수합12 -> OK 두수 합 -> NO 두수_합 -> NO 두수12합 -> NO twoSum -> OK twoSum12-> OK two sum -> NO two12Sum -> NO two_sum -...